완도 여행 -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와 약산도 당목마을(2019.10.06)
완도 고금도에 있는 충무사는 사적 제 114호이다. 1953년 관왕묘(탄보묘)의 옛자리를 '충무사'라 명하고 이순신의 영정을 모시었다. 연재 충무사는 정전(사당, 정면 3칸, 측면 3칸, 맞배지붕) 동무(정면3칸, 측면1칸반, 맞배지붕) 서무, 동제, 서제, 관왕묘비각, 내삼문, 중삼문, 의삼문, 홍살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59년 동무에 가리포진 첨사였던 이영남을 추배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9년 10월 6일,...완도에서 신지도로 넘어가 십리해변을 구경하고...섬을 한바퀴 돌아보고 장보고 대교를 건너 고금면으로 넘어 갑니다.
남해군과 연결된 완도는 완도대교로 어어져 육지화 되었고..완도와 신지도는 신지대교, 신지도와 고금도는 장보고 대교로 이어졌으며...고금도와 약산도는 약산대교로 연결되어 완도군에 있는 4개의 섬이 육지화 되었습니다.
이날 다리로 연결되어 있는 신지도와 고금도, 약산도를 한꺼번에 돌아보았습니다. 큰 볼거리는 없는 그저 평범한 섬에 지나지 않는 곳이기는 합니다.
고금도에서 꼭 봐야 할 곳은 묘당도 충무공 유적지로 위패를 모신 충무사와 앞에 있는 월송대에는 전사한 이충무공의 시신을 얼마동안 가묘로 모셨던 곳이라 합니다.
완도에 들어와 신지도, 고금도를 비롯하여 약산도까지 한바퀴 돌아보고 완도로 나와서 또 하룻밤을 머물게 됩니다. 완도에 있는 맛집에서 맛있는 저녁을 먹고 포만감을 느끼며 깊숙한 숲속에서 맥주캔을 따...시원하게 목을 축이고 쉽니다.
내일은 남해로 건너가 한바퀴 돌아 볼 것입니다.
관왕묘비는 이이명이 비문을 짓고 이우항이 글씨를 썻다. 비는 관왕묘의 건립 시기와 배경, 유지 관리 과정등을 밝혀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정유재란을 승전으로 이끌었던 이순신과 진린 장군의 행적을 담은 기록물로 역사적, 학술적으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전진도첩은 절라우수영의 군사조직과 운영실태, 어떤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수록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예진도, 직진도, 하방영도, 도진도, 곡진도, 학익진도, 일제 향전도, 열자진도, 좌우이로행도, 청발방도, 군선기호, 나팔취음, 기타 1780년 이전 고수영 작대, 1781년 개작대 등이다.
본 자료는 실제 조선후기 우수영이 어떤 조직과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알려준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
월송대 ...충무사 앞에 위치하고 있다.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이순신의 유해가 임시로 안장되었던 유서 깊은 장소이다.
약산면의 남쪽 끝자락에 위치한 가사동백숲해변은 수백년 된 동백나무 수 백 그루와 후박나무, 잿밤나무가 해수욕장을 둥글게 감싸고 있고 규모가 아담하여 물놀이도 하고 삼림욕도 즐길 수 있다. 원래 이름은 가사해수욕장이었으나 가시 동백숲해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월이면 일제히 피어나는 동백꽃들이 바다를 붉게 물들인다고 한다.
당목마을에 있는 당할머니 당제.
당목마을 당제는 약 1750년경 마을 치도작업 중 개천에서 괭이에 상처를 입은 둥근 돌이 피를 흘리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방풍림에 신당을 지어 그 돌을 정중히 모셔 놓고 매년 정월 초엿새 날에 제사를 올리고 있다. 신당을 모신 후 이곳 당숲으로 상여가 지나가면 상여체가 부러지고 남여가 거기에 소변을 보면 질병이 걸린다는 설이 있다.
'국내 여 행 > 섬 여 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도여행 - 관매도 트레킹(벼락바위와 방아섬) (0) | 2019.10.21 |
---|---|
진도여행 - 관매도 트레킹(하늘다리) (2019.10.09) (0) | 2019.10.21 |
완도 여행 - 신지도 명사십리해변(2019.10.06) (0) | 2019.10.15 |
완도 여행 - 완도타워(2019.10.06) (0) | 2019.10.15 |
완도 여행 - 정도리 구계등(2019.10.06) (0) | 201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