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 행/조선의 왕릉

조선의 왕릉 - 구리 동구릉

by 하담1 2022. 1. 9.

조선의 왕릉 - 동구릉

 

 

동구릉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왕릉군이다. 동구릉은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1만5891m2에 달하는 구역에는 9개의 능에 17위의 유택이 있고, 2009년 2월 27일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조선이 세운 태조의 무덤으로 쓰여지기 시작한 뒤 조선시대를 통하여 가족무덤을 이루고 있는 왕릉군이다. 동구릉이란 도성의 동쪽에 있는 9개의 무덤이란 의미로, 무덤이 생길 때마다 동오릉, 동칠릉이라 불렸는데 철종 6연(1855년)에 수릉이 옮겨진 이후 동구릉으로 굳어졌다.

 

동구릉에는 1대 태조의 건원릉을 중심으로 5대 문종과 현덕왕후의 무덤인 현릉, 14대 선조와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의 무덤인 목릉, 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무덤인 휘릉, 18대 현종과 명성황후의 무덤인 숭릉, 20대 경종의 비 단의왕후의 무덤인 혜릉, 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의 무덤인 원릉, 초존 문조와 신정왕후의 무덤인 수릉, 24대 헌종과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무덤인 경릉 등 9개의 무덤이 있다. 태조의 무덤인 건원릉은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을 기본으로 삼아서 만들었다.

 

동구릉에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왕릉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필수 있다. 무덤을 만들 때 각 무덤에 따른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재실을 지었다고 하나 현재 각 무더에 재실이 없고, 9개의 무덤을 하나의 경계지역으로 하여 구릉 남쪽에 재실이 있다.

 

전체적인 모습은 중앙 북쪽의 건원릉을 중심으로 동쪽에 3개, 서쪽에 5개의 무덤을 거느리고 있는 모습이다. 조선의 왕릉중 한 지역내에 왕릉군을 이루고 있는 곳은 서오릉과 서삼릉이 있으나 동구릉이 가장 많은 무덤이 있다.

 

 

2022년 1월 6일,

 

요즘 절찬리에 방영되고 있는 대하역사 드리마 "이방원"을 보면서 조선왕릉이 떠올랐고 이번 기회에 모두 돌아보고 싶었습니다. 덕분에 조선의 왕릉에 대하여 공부도 하며...

 

왕릉의 조성과정을 읽다보면 각각의 능마다 기구한 사연이 모두 있게 마련이고 그것이 바로 역사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요즘 방영되고 있는 대하 드라마를 보면서 요즘 찾아 본 조선왕릉을 떠올리며 고개를 꾸덕이게 되고....

 

이날 구리에 있는 동구릉을 시작으로 남양주의 홍릉과 유능 그리고 서울로 들어오면서 태릉과 강릉까지 한바퀴 돌아보았습니다.

 

묘역까지 올라가 석물까지 자세히 볼 수 있었으면 좋으련만 정자각에서 묘역을 보는 것이 전부인 것이 아쉽지만 문화재를 보호가는 입장에서 그것이 최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조선왕릉이 잘 관리되고 있다는 것을 충분히 알 수 있는 기회였고, 언젠가 문화해설가의 설명을 들으며 묘역까지 들러 볼 수 있는 기회가 오기를 기대합니다.

 

이날 수릉을 시작으로 헌릉- 건원릉- 목릉- 휘릉- 원릉 -경릉 - 혜릉 - 숭릉까지 총 9기를 돌아보는데 걸리는 거리가 6.7km에 2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아마 묘역까지 올라가 볼 수 있었으면 하루 종일 걸리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동구릉 입구에 있는 세계문화유산 안내판...

 

입장료가 1000원이지만 경로 우대로 무료입장입니다. 

 

입구에 들어서면 역사 박물관이 있고...

 

홍살문을 통하여 왕릉이 있는 곳으로 갑니다. 입구에서 왼쪽방향에서 시작하여 한바퀴 돌아봅니다. 

 

 

멀리서 보이는 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