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 행/조선의 왕릉

조선왕릉 - 구리 동구릉(휘릉과 원릉)-2022.01.06

by 하담1 2022. 1. 10.

조선왕릉 - 구리 동구릉(휘릉과 원릉)-2022.01.06

 

휘릉은 조선 16대 인조의 두번째 왕비 장령왕후 조씨의 능이다. 

 

단릉 형식으로 봉분에는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둘렀으며, 난간석에는 십이지를 새겨 방위를 표시하였다. 능침 주변의 석양과 석호는 아담한 크기에 다리가 짧아 배가 바닥에 거의 닿을 정도이다. 혼유석을 받치고 있는 고석은 5개로 배치하였다.

 

조선 전기 왕릉(건원릉~헌릉)의 고석은 모두 5개 였으나 세종의 영릉 이후에는 4개로 줄었는데, 휘릉에 와서 다시 초기의 형식을 따르게 되었다. 이는 건원릉의 예를 잠깐 따른 것으로 , 휘릉 이후의 왕릉에는 다시 고석을 4개씩 배치하였다.

 

능침 아래에는 정자각, 비각, 홍살문 등이 배치되었다. 휘릉 정자각은 다른 왕릉의 정자각과 달리 정전의 양 옆에 익량을 추가하여 왕장함을 다하였다.

 

 

원릉은 조선 21대 영조와 두번째 왕비 정순왕후 김씨의 능이다. 쌍릉의 형태이며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서쪽)이 영조, 오른쪽(동쪽)이 정순왕후의 능이다.

 

능침은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둘렀으며, 왕과 왕비의 능 앞에 각각 혼유석 1좌씩 배치되었다. 망주석 기단부에 새겨진 세호는 위를 향하고 있고, 왼쪽 망주석에 새겨진 세호는 아래로 내려가는 모양을 하고 있다.

 

장명등은 사각 옥개형의 장명등으로 화사석과 옥개석 부분을 제외하고 상, 중,하대석 부분은 꽃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영조의 원릉을 시작으로 중계와 하계 사이의 단을 없애고 문석인과 무석인을 한 단에 같이 배치하였다.

 

능침 아래의 비각에는 총 3기의 표석이 건립되었다. 1비는 1776년 영조 승하후에 세운 영종대왕 표석, 2비는 영주 추존 후 세운 영조대왕 표석, 3비는 1805년(순조5)에 세운 정순왕후 표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