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 행/조선의 왕릉

조선왕릉 - 구리 동구릉(경릉, 혜릉, 숭릉)-2022.01.06

by 하담1 2022. 1. 10.

조선왕릉 - 구리 동구릉(경릉, 혜릉, 숭릉)-2022.01.06

 

경릉은 조선 24대 헌종성황제와 첫번째 왕비 효현성황후 김씨와 두번째 왕비 효정성황후 홍씨의 능이다.

 

경릉은 세개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삼연릉의 형태로 조선왕릉 중 유일하다. 정자각 앞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헌종, 가운데가 효현성황후, 오른쪽이 효정성황후의 능이다.

 

세 봉분은 모두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을 둘렀으며, 난간석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봉분 앞에는 혼유석을 따라 설치하였다. 

 

능침 아래에는 정자각, 비각, 홍살문, 판위 등이 배치되었으며, 비각에는 한개의 표석이 있다. 표석은 대한제국 선포 후 황제 추존으로 바꾼 표석으로 전면에는 [대한 헌종성황제 경릉 효현성황후 부좌 효정성황후 부좌]라고 써 있다.

 

혜릉(경종비 단의왕후)

 

혜릉은 조선 20대 경종의 첫 번째 왕비 단의왕후 심씨의 능이다.

 

단의왕후는 처음 왕세자빈 신분으로 세상을 떠나 이전의 순회세자묘(순창원)와 소현세자묘(소경원)의 예를 참조하여 묘를 조성하였다. 이후 경종이 왕위에 오른 후 단의왕후로 추존하고 능의 이름을 혜릉이라 하였고, 1722년(경종)에 능의 형식에 맞게 무석인, 난간석, 망주석 등 석물을 추가로 제작하였다.

 

능침의 석물은 명릉 이후의 양식을 그대로 따라 작게 조각하였다. 장명등은 현재 망실되어 터만 남아 있고, 정자각은 광복 후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가 1995년 새로 복원하였다.

 

숭릉(현종과 명성왕후)

 

숭릉은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이다.

 

숭릉은 하나의 곡장안에 봉분을 나란히 배치한 쌍릉형식이다. 봉분은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둘렀고 난간석으로 두 봉분을 연결하였으며 능침 앞에는 혼유석이 각각 1좌씩 놓여 있다.

 

그 밖에 석양, 석호, 망주석, 문무인석, 석마 등은 일반적인 조선왕릉의 형태로 배치되었다. 숭릉의 석물은 효종의 구 영릉의 석물을 다시 사용한 것으로, 영릉이 여주로 천장 될 때 석물을 묻었다가 다시 꺼내 사용하였다.

 

망주석에는 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위쪽에는 '세호'라고 불리는 작은 동물 조각이 뚜렸하게 조각되어 있다. 능침 아래에 있는 정자각은 조선왕릉 40기 중 유일하게 남은 팔작지불 정자각이며,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