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 행/조선의 왕릉

조선의 왕릉 - 서울 의릉(2022.01.23)

by 하담1 2022. 1. 25.

조선의 왕릉 - 서울 의릉(경종과 선의왕후)-2022.01.23

 

의릉은 조선 20대 경종과 두번째 왕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이다.

 

의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비의 봉분이 앞뒤로 나란히 배치한 동원상하릉의 형식으로, 곡장을 두른 위의 봉분이 경종의 능, 곡장을 두르지 않은 아래의 봉분이 선의왕후의 능이다. 이러한 형식은 능혈의 폭이 좁아 왕성한 생기가 흐르는 정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풍수지리적인 이유이다. 

 

능침은 두 봉분 모두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만 둘렀고, 장명등, 혼유석, 석양, 석호, 석마, 문무인석 등을 배치하였다. 경종의 능침에 배치된 망주석 세호는 왼쪽은 위를 향해 올라가있고, 오른쪽은 아래를 향해 내려가 있으나, 선의왕후의 능침은 반대로 조각되어 있다.

 

특히 경종의 능침 무석인의 뒷면에는 짐승 가죽을 나타내기 위해 코리가 말린 것을 조각하였고, 선의왕후의 능침 석호는 꼬리가 등 뒤로 올라가게 하는 등 재미있게 표현하였다.

 

 

2022년 1월 23일, 조선 왕릉 나들이입니다.

 

양주에 있는 온릉을 시작으로 남양주 광릉을 거쳐 서울 시내에 있는 의릉에 왔습니다. 

 

사실 이 의릉은 조선왕릉에 관심을 갖기 전에는 전혀 몰랐던 왕릉이으로 이번에 찾아보니 넓은 공간에 주변 주민들에게는 훌륭한 산책코스를 제공하는 곳이였습니다.

 

조선왕조 20대 경종과 왕비의 능이라고 하는데 역사적으로 많이 알려진 왕이 아니라 숨겨진 왕릉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 능의 특징은 봉분이 좌우로 있는것이 아니라 상하로 만들어져 있어 조선왕릉에서는 유일한 형식이라고 합니다.  지형에 맞춘 형식이라고는 하지만 특별한 모습으로 눈길이 가는 왕릉이었습니다. 

 

다른 것은 조선왕릉의 형식에 따라 조성되어 별반 다름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