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 행/조선의 왕릉

조선의 왕릉-서오릉(명릉, 수경원, 익릉)-2023.05.19

by 하담1 2023. 5. 21.

조선의 왕릉-서오릉(명릉, 수경원, 익릉)-2023.05.19

 

서오릉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있는 조선왕실의 왕릉군이다. 경릉, 창릉,익릉, 명릉, 홍릉의 다섯 능을 말하며, 그밖에 다른 원과 묘도 함께 있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 198호로 지정되었다.

 

서오릉(西五陵)은 동구릉(東九陵) 다음으로 규모가 큰 조선왕실의 왕릉군으로,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1457년(세조 3) 세조의 장자 의경세자(덕종)의 묘(현 경릉)를 처음으로 만든 이후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되면서 경릉(敬陵)이라고 개명하고, 덕종비 소혜왕후가 훗날 경릉에 같이 안장된다. 이후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창릉(昌陵), 19대 숙종의 원비인 인경왕후의 익릉(翼陵),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제2계비 인원왕후의 명릉(明陵), 21대 영조의 원비인 정성왕후의 홍릉(弘陵)이 차례로 조영되었다.

 

 

명릉은 숙종과 인현왕후의 능이 쌍릉으로 나란히 조영되고, 인원왕후의 능은 다른 편 언덕에 단릉 형식으로 모셔져 동원이강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명릉은 일반적인 왕릉과 달리 명릉에서 가장 낮은 서열의 인원왕후의 능이 가장 높은 자리인 오른쪽 언덕에 모셔져 있다. 명릉은 숙종의 명에 의해 능역에 드는 인력과 경비를 절감하여 부장품을 줄이고 석물 치수도 실물 크기에 가깝게 하는 등 간소한 제도로 조영되었다.

 

수경원(綏慶園)은 영조의 후궁 영빈 이씨의 묘이다. 원래 경기도 고양군의 옛 연희궁 자리(현재의 서울 특별시 신촌동)에 위치하였으나 1970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익릉의 봉분은 병풍석은 생략하고 난간석을 둘렀으며, 다른 왕릉과는 조금 다르게 석주가 아닌 동자석 상단부에 십이간지를 글자로 새겨 놓았다. 정자각은 능침 언덕 아래에 있다. 현종의 숭릉 정자각과 같이 당시 유행하던 익랑이 딸려 있다. 정자각과 홍살문 사이의 향어로는 직선으로 경사가 졌으며, 중간에 계단을 두어 지형에 맞춰 설치하였다.

 

 

2023년 5월 19일, 서오릉 탐방....

 

예전에 한번 찾았던 서오릉이지만 자료가 부족하여 다시 찾아 온 곳입니다.

 

서오릉은 새벽 6시에 오픈을 하기 때문에 이른 봄에 새싹이 돋아 날 시기에 이른 시간에 찾아 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던 곳입니다. 시기와 때를 잘 맞추면 멋진 사진을 얻을 수 있는데....

 

울창한 숲속길을 산책삼아 한바퀴 돌아보면서 사진을 찍으니 햇살이 강하여 사진은 별로 이지만 여늬 왕릉과 마찬가지로 울창한 소나무 숲속길을 따라 걸으니 좋습니다. 

 

왕릉의 형식은 거의 똑 같은데....홍살문을 통하여 들어가면 신도와 어도를 지나 정자각이 있고 그 옆으로 수라간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왕릉의 한편에 비각이 설치되어 있고....능에는 크고 작은 석물이 설치 되어 있지만 정자각 안으로는 출입이 통제되어 멀리서 석물들을 보게 됩니다.  

 

예전에는 능위까지 올라가 석물을 아주 가까이서 보며 직접 만져 볼 수 있었지만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출입이 통제된 것 같습니다.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은 이해가 되지만...

 

예전에 출입이 통제되기 전에 찍었던 사진을 보면 석물이 상당히 보기 좋습니다. 지금은 가까이서 볼 수 없으니 자료를 찾아서 모습을 떠 올려 보지만 직접 보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겠지요.

 

아뭍은 서오릉의 왕릉 사진도 부족하지 않게 얻었습니다.